4/10 오늘의 운동
주말에 술을 먹은 것 때문인지, 이어폰을 놓고와서 음악 혹은 동영상 없이 달리기 한 것 때문인지, 9분이 무지하게 길게 느껴졌다. 심장이 좀 아픈거 보니, 살도 빼야할 것 같고, 그렇다. 복근도 60개 하고 지친다. 그리고 100개를 채웠다. 어차피 크런치라, 허리를 심하게 쓰지 않으니 상관은 없는데, 왜 재채기를 크게 할 때, 복부가 쥐날것 같은 건지 모르겠다. 주말에 술 때문일까? 지방간이 있고, 간이 약한 상황인데, 간은 근육과 직결된다. 그래도 나름 4일이나 제대로 금주하고 마신건데..... 제일 궁금했던 부분이다. 날짜를 보면, 4,5,6,7일 연속 1세트로 하고, 주말 이틀을 쉬면 어떤 변화가 있을지, 실험해봤다. 6~7개째 올라갈때부터 힘이들더라. 드라마틱한 변화는 못 느꼈다. 오히려 퇴보한..
2023. 4. 10.
운동 일지 4/4
턱걸이 갯수가 늘지 않는다. 추정해볼 수 있는 원인은, 운동량이 부족하다. 첫째, 한 번 운동할 때, 세트수가 부족하다. 예전에 할 때는 매일매일 5~10세트씩 했는데, 무기력했던 지금은 욕심을 버리고, 운동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 달랑 3세트만 하고 있다. 그것도 1세트만 12~13회, 2~3세트는 4회 밖에 못 한다. 둘째, 운동의 빈도수가 적다. 이틀에 한 번 꼴로 3세트밖에 안 한다. 예전 경험에 비추어보면, 4일 연속은 해줘야 한다. 5일째에는 올라갈 때, 버겁다. 그렇게 피로가 누적되다가, 휴식을 이틀 해주고, 다시 당기면, 쑥쑥 올라가는 느낌이 든다. 사람마다 회복기간과 운동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 모니터링을 해보고, 경험치로 판단해야 하는데, 여튼 나는 그렇다. 그럼에도 나는 당분간은 ..
2023. 4. 4.
요즘 운동 기록 (상체)
이두근. 무게를 점차 올리다보니, 손목힘이 약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다. 팔뚝보다 손목에서 못 받쳐준다. 어깨는 그냥 저냥 문제가 없다. 다만, 무게를 높게 치려고 하다보니, 허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느껴서, 하체운동을 패턴을 바꿨다. 레그프레스를 이제 접고, 스쿼트로 바꾸고, 숄더프레스를 하기 전에, 복근 운동을 먼저 배치하여, 허리 부상을 방지하려고 한다. 이것도 역시, 등근육보다 잡아당길 때, 악력이 너무 부족하다. 당기다가 기구를 놓칠까봐 그게 걱정이다. 악력이 너무 약함. 턱걸이는 이틀에 1번 3세트만 하는데, 첫 세트 13개에서 12개로 오히려 줄었다. 턱걸이는 여기서 늘지 않는다. 셋트 수를 늘리고 싶은 욕심이 드나, 자제하는 중이다. 괜히 운동 시간 늘려서 질리지 않도록, 나를 달래고 ..
2023. 4. 3.
독해력과 수학
고등학생들이 유독 취약한 문제유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문장제 문제'이다. 복잡하게 언어로 설명해놓고, 문제를 푸는 유형인데, 실상 난이도는 낮다. 그럼에도 어려워 하는 이유를 분석해보니, '독해력'이 근본적으로 약하다는 것이었다. 이제 초2가 된 아들래미도, 그런 기미가 보여, 조심스레 독해력쪽을 키우려고 노력 중이다. 왜 그런가 보니, 아마도 유튜브 시청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다고 유튜브를 억지로 막는 방법은 역효과가 일어날 수 있으니, 자연스럽게 책을 더 가까이 하도록, 만화책을 사 주었다. 우리 어릴때만해도, 만화책하면, 공부 안하고 농땡이치는 짓거리라 여겨 터부시해왔지만, 사실 만화책만큼 책을 가깝게 만드는 방법도 없다. 글과 그림의 중간 영역에서 자연스럽게 글을 읽도록 유도되는 중간..
2023. 3. 6.
마감효과 교육
아들래미가 초등학교 2학년이다. 현재 두~세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을 배우는데, 아빠가 옆에서 도와달라고 한다. 문제수가 많으면, 집중력도, 의욕도 떨어지기에, 옆에서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생각해낸 방법이, 공룡놀이게임이다. 위 그림처럼, 지우개를 놓고, 약 30~60cm 거리에서 공룡을 움직이며 지우개로 걸어가는 상황을 설정한다. 그리고 아빠가 소리를 내며, 공룡이 지우개를 먹으러 가는 것이다. 그리고 아들이 한 문제를 풀어내면, 공룡은 처음 자리로 돌아간다. 공룡에게 지우개를 먹히지 않도록 아들래미는 평소보다 더 집중하여 문제를 푼다. 나름 마감효과를 생각하며 고안한 놀이다. 가끔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아들은 우겨대며, 좀 더 뒤로 가라고 웃으며 난리를 친다. 이렇게 딱딱할 수도 있는 수학숙..
2023. 3. 6.